본문 바로가기

식물관리

우리나라 꽃 무궁화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무궁화꽃의 형태

우리나라 꽃 무궁화(Hibiscus syriacus, Rose of Sharon)는 아욱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높이 3~4m까지 자랍니다. 잎은 달걀 모양이나 마름모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세 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어긋납니다. 7월부터 9월까지 넓은 종 모양의 꽃이 주로 새로운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달려서 핀다. 대한민국에서는 관습헌법에 의해 국화(國花)로 여겨집니다. 중국·인도가 원산지로 알려졌으며, 세계 여러 곳에서 가꾸어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주로 중부 이남에 분포합니다.

무궁화의 한자는 無(없을 무), 窮(궁할 궁), 花(꽃 화)로, ‘궁핍없이 오래가는 꽃’으로 해석되며, 이는 궁핍한 생활 없이 풍족하고 행복하게 오래 살고자 하는 우리 민족의 바람이 담겨져 있습니다.

줄기는 흰빛이 도는 회색을 띠고 있으며, 어린 가지에 있는 털은 자라면서 점차 없어집니다. 작은키나무로, 1~ 2미터의 높이에 팔목 정도의 굵기로 자랍니다. 잎자루는 짧고, 잎 가장자리에는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습니다. 달걀 모양 또는 마름모형 달걀 모양인 잎은 어긋나며, 세 갈래로 얕게 갈라집니다.

꽃은 7월 초부터 10월 중순까지 개화하며 새로 자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한 송이씩 핍니다. 꽃의 모양은 대부분 종 모양으로 생겼으며 꽃자루는 짧은 편입니다. 꽃 색깔은 붉은색, 분홍색, 연분홍색, 보라색, 자주색, 파란색, 흰색 등 다양합니다.대부분의 품종은 이른 새벽에 꽃이 새로 피었다가 오후에는 오므라들기 시작하고 해질 무렵에는 꽃이 떨어지기를 반복하지만 반겹꽃이나 겹꽃 계통에 속하는 일부 품종의 경우 2~3일간 피어있기도 합니다. 씨는 편평하며 긴 털이 있습니다. 꽃잎에는 보통 밑부분에 단심이라고 하여 색이 더 짙은 부분이 있는데, 이 곳에서 바깥쪽으로 같은 색깔의 선들이 뻗고 있습니다. 긴 타원형 열매는 방이 다섯 개로 나뉘며 완전히 익으면 갈라져서 씨를 퍼뜨립니다. 

재배방법

날마다 새로운 꽃이 피어 신선한 모습을 자랑하며 추위에도 비교적 강한 편입니다. 번식은 씨로도 하고 꺾꽂이로도 할 수 있습니다.나무가 건강하기 때문에 특별히 환경이 좋은 곳이 아니더라도 잘 자랍니다. 따라서 뜰이 넓은 집 안이나 공공 건물의 화단에 심으면 좋습니다. 씨로 번식시킬 때는, 지난해에 받은 씨를 2 ~ 3월에 뿌립니다. 꺾꽂이한 것은 모두 뿌리가 내립니다.꺾꽂이로 할 때는, 봄이 되어 싹트기 전에 묵은 가지를 10 ~ 15cm로 잘라서 꽂거나, 장마철에 그 해에 자란 가지를 잘라서 꽂습니다.  뿌리가 내린 후 1 ~ 2년 지나서 원하는 곳에 옮겨 심습니다. 무궁화는 곧게 자라는 성질이 있으므로 겨울 또는 봄에 가지를 치면 그 해에 자란 가지에 꽃이 피고 키가 커지는 것도 막을 수 있습니다.

목근은 난대성 수종으로 100여 년 전까지는 차령산맥 이남에서만 생육되었다가 점차 개량하여 휴전선 인근까지 생육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근화는 열대 아열대에서 자라며 관상용으로 키울 때에는 집에서 생육이 가능합니다.

싹이 나올 무렵에는 진딧물이 많고, 5월 이후로 박쥐나방, 7월 이후로 무궁화밤나방(자벌레) 등의 충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무궁화는..

1) 1966년 이후부터 발행된 대한민국의 1원 동전 앞면에는 무궁화가 그려져 있습니다.

2) 한국에서는 불면증을 이겨내기 위해 무궁화를 차로 마셨는데, 그렇게 마시면 잠이 잘 온다.

3) 무궁화의 영어 이름인 "샤론의 장미"(The Rose of Sharon)는 "이스라엘의 샤론 평원에 핀 아름다운 꽃"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4) 무궁화의 즙은 무좀, 설사, 눈병, 생리 불순, 위장병 등의 여러 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설이 있지만 현재는 무궁화의 성분      분석이 없는 상태이다.

5) 무궁화는 십자군 시리아에서 유럽으로 옮겼다는 식물이다.

6) 무궁화는 가지가 잘 꺾이지 않는 섬유질이어서 흔히 울타리로 사용한다.

7) 무궁화의 종소명(種小名)이 시리아쿠스(syriacus)로 학계에서는 원산지가 시리아라는 것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학자마다 주장이 다르듯이 명확하지가 않다.

8) 무궁화의 꽃말은 무궁(다함이 없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