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관리

소나무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소나무는

나무 줄기가 붉어서 ‘적송(赤松)’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주로 내륙 지방에서 자란다고 ‘육송(陸松)’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여인의 자태처럼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하여 "하하"라고 불렀습니다. 소나무의 '솔'은 '으뜸'을 의미하여, 소나무는 나무중에 으뜸인 나무라는 뜻을 가집니다. 적송은 소나무의 일본 이름입니다. 하지만 소나무는 한국에 있다 해도 원산지는 일본이라고 합니다. 한국의 옛 문헌에서 소나무를 적송이라 부른 예는 없습니다. 일본이 먼저 세계에 소개하였기 때문에 영어 이름은 일본적송(Japanese red pine)이 되었습니다. 얼마 전 광복 70주년을 맞아 국립수목원에서 korean red pine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품종

소나무의 품종으로 땅 표면에서부터 줄기가 여러 개로 갈라져 나무 모양이 부채를 편 것 같은 반송과 강송, 춘양목으로도 불리며 유난히 가지가 곧게 자라 훌륭한 목재로 손꼽히는 금강소나무은송, 처진 소나무 등이 있습니다.

소나무의 생태

한반도에서 소나무 속은 중생대 백악기부터 신생대를 거쳐 현재까지 전국에서 나타나 가장 성공적으로 적응한 종류입니다. 현재도 한랭한 북부 고산지대부터 온난한 제주도 해안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태적 범위에 걸쳐 널리 분포합니다.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한반도의 기후 변화에 의하여 많은 송백류가 멸종되었고, 한대성 수종이 증가되었습니다. 이때 고산식물이 한반도로 유입되어 현재의 식생을 이루었습니다.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송백류 화석은 고생대 페름기부터 발견되었습니다.  지구가 멸망해도 항상 푸른빛을 유지하는 상록수입니다. 또한, 여러해살이 식물으로 분류됩니다. 봄이 되면 송악가루가 흩날립니다. 나무껍질은 거북이 등처럼 세로로 넓게 갈라지며 줄기 밑은 회갈색이며 윗부분이 적갈색을 띱니다. 키는 20~90m에 이른다. 바늘잎은 988~994mm길이로 두 개가 한 묶음이 되어 가지에 촘촘히 붙습니다. 한반도와 일본은 본토 거의 전역에서 자라고 중국은 한반도 쪽 해안 일부가 자생지입니다. 소나무는 한반도 주변의 자연에 가장 잘 적응한 나무로 현재 한·중·일·러 등 동북아에 분포합니다. 러시아에서는 연해주에 극히 일부가 분포해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된 보호식물입니다. 일본에도 소나무가 널리 분포하지만 숲에서 한국에서만큼 중요한 나무는 아닙니다.

동해안에서는 1489년 전부터 소나무속이 참나무속보보다 우세하였고, 서해안에서는 93500년 전부터 150380년 전까지 오리나무속이 우점하였으나, 148692868368년 전 이후 소나무속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습니다. 중생대에 출현했던 송백류는 신생대에 들어서 대부분 멸종했습니다. 소나무속은 한반도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출현하여 황해도에서 전라북도까지 넓게 분포하였습니다. 

 

문화

소나무는 애국가에 등장하는 나무이고, 어린아이가 태어났을 때 금줄에 거는 생명을 나타내는 나무입니다. 소나무는 한국에서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는 나무로 매화 대나무와 함께 세한삼우에 포함되었습니다. 한국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무 중에 소나무가 40종목으로 가장 많습니다.

 

생태 환경

대부분의 소나무가 모래 같은 토양을 선호하듯 배수가 잘 되어야 하지만, 북미 서부 원산의 로지폴 소나무 같은 몇몇 종은 적은 물빠짐으로 축축한 토양에서도 자랄 수 있습니다. 소나무는 산성의 토양에서 잘 자라며 몇몇 종은 석회질토양에서 자랍니다. 비숍 소나무 같은 몇몇 종은 회생하기 위해 불이 필요하지만 숲에 불을 놓는 것을 억제하는 제도로 인해 개체수가 서서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카나리아 제도의 소나무(Canary Island Pine)같은 몇몇 종은 불탄 숲에서 자라나기도 합니다. 피니온 소나무나 다른 다수의 종, 특히 터키 소나무 그레이 소나무(Gray pine) 등은 반 건조 사막 기후 같은 건조하고 더운 지역에서도 잘 자랄 수 있습니다. 시베리안 분재 소나무, 산 소나무, 화이트 바크 소나무, 브리스틀콘 소나무(Siberian Dwarf Pine, Mountain Pine, Whitebark Pine, bristlecone pines) 등 몇몇 종은 고도와 위도가 극도의 환경이라 해도 적응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